본문 바로가기
기업 노크/LG생활건강

LG생활건강 - 적정가 (2) PCR을 이용해 보자

by 콕 COC 2021. 2. 1.
반응형

1. 지난 번 글을 필독하고 오시면 좋습니다만,

- 그렇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버핏이 판다 (1) LG 생활 건강

- 이 글에서 하고자 하는 말은 뭐였을까요? 네, 이 회사의 향후가 더 기대된다는 말씀을 했습니다. 물고기 모형 the fishmodel을 예로 들어, ROE는 낮아지지만, 연결기업 회사의 '영업이익률' 우상향을 예로 들었죠. 결과적으로 순자산의 증가랑으로 인해 ROE는 낮아질 수 있지만, 영업이익률을 함께 보면 현재 이 회사는 유의미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 두고봐야죠. 그런데, 이 회사의 적정 매입 가격은 한번 분석했었습니다: ROE의 관점에서 분석을 했는데 그 가격은 이 곳에서 확인 가능합니다:https://blog.naver.com/drleepr/222047912135

[콕콕X버핏] 버핏이 이 기업을 산다면 (1) LG 생건

#콕콕 #버핏 #투자의위험측정 #버핏의눈 #LG생활건강 #생건​1. 투자의 위험 측정, 버핏의 눈으로.책의 1...

blog.naver.com

뻉뻉이 돌리는게 아니라,재방송 하기 싫어서 그렇습니다. 이해 부탁 드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포스트를 누르지 않을 사람들을 위해, 그 당시 LG 생활 건강의 '안전 마진'이 포함된 가격은 120만 7천원으로 예상한 바 있습니다: 여전히, 140만원에서 놀고 있죠? 20만원 더 떨어질 가능성은 있을까요?

두고보시죠.

출처: 네이버 금융

- 이 가격이 내려오기 까지, 또 2020년 3월 코로나발 '10년간 기다려온 위기'가 되어야지 그 가격에 도달할 것을 알기에, 아래의 정성적 분석을 진행합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이 시점에 저도, 이 분석을 통해 현재 LG생활건강의 적정가격이 얼마인지 알 수가 없군요.

 

 

2. 정성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를 좋아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laysis)가 필요한 떄가 있습니다. 

 

- 정성적 분석이 필요할 때가 바로 지분을 매입할 때죠. 버핏의 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몇천억 혹은 '조' 단위의 투자를 집행하여 보통 한 회사의 지분을 큰 비율로 '인수' 합니다. 그런 버핏에게 무엇이 필요하죠? 네, 내가 지금 인수하는 이 가격 대비 회사의 내재가치가 적정한가?, 이것을 판단해야 합니다. 더군다나, LG 생활 건강의 주가가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럴 떄일 수록, 떨어지는 칼날을 급하게 잡을 필요 없이, 회사의 내재가치에 대한 질문을 한번 던져 봅니다.

 

 

3. 내재가치를 구하는 공식

- 주주이익을 구하는 단계에서,

 

- 주주이익 = (a) 보고이익 + (b) 감가상각, 감모상각, 상각 비용, 비 현금 비용 (영업권 상각비 등) - (c) 공장설비/장비등에 대한 연간 자본적 지출액*

*장기 경쟁력과 판매량 유지에 필요한 지출액

버핏의 친절히 알려준 공식인데, (c) 항목에 대해서 기업마다 적용해야할 수치가 분명 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역시, a에서 z까지 친절하게 가르쳐주진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c) 부분을 '과거 5년간의 CAPEX 중에서도 유형자산 처분/취득, 무형자산 감소/증가, 투자자산 감소/증가 부분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2020년 주주이익을 구하기 위해, 2019년 하반기에 2020년 상반기 실적을 더합니다. 감가상각 및 CAPEX도 이와 같이 구해줍니다:

 

(a) + (b) - (c)하여, 아래와 같이 주주이익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주이익을 콕콕X버핏에서 나왔으므로, COC, © (콕)이라 표현하며, 주당 주주이익을 ©PS (콕피에스)로 표현합니다. 또한, 역사적 가격에서 ©PS를 나눈 값을 P©R (Price © Ratio; 프라이스 콕 래이티오)라 표현합니다. 그렇게 되면, 현재 가격 1473000원은, P©R이 34정도로, 최소치 29에 가깝습니다.

즉, '적정한 가격'이라 할 수 있겠죠. 역사적으로 주주이익이 가장 좋았던 시점은 2019년도 였으며, 그 시점의 P©R 또한 29입니다.

굳이, 안전마진이 계산된 주주이익을 고려한 적정 매입 가격을 계산해 보자면, 2020년 현재 시점의 ©PS 43927원 X P©R 최소치 29를 곱해주면 나옵니다: 1,270,614원이 나오는군요.

어라, 이전에 '콕콕X버핏: 버핏이 이 기업을 산다면' 에서 구한 안전마진이 포함된 가격, 120만 7천원 대비, 5.27%높은 가격입니다.

이상, 콕콕X버핏의 콜라보레이션 collaboration인 CPS를 이용하여 LG생활건강의 적정가격을 산출 해 보았습니다.

* 니, 약 빨았나? 라고 물으시면, 네. 빨았습니다. 타이레놀 2알에 이정도로 up 되는군요. 몸살에서 일단은 약빨로 하루만에 자리를 털고 일어납니다. 무엇을 위해서요? 네, 여러분의 출근길과 '월간 콕'을 위해서요.

감사합니다.

Thanks a ton.

* 콕COC은 본 정보의 정확성에 대해 보증하지 않으며, 본 정보를 이용한 투자에 대한 책임은 해당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