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활용: 원자재 슈퍼 사이클과 그 혜택 (13), 2021년 4월 9일」 |
▌「투자 활용: 원자재 슈퍼 사이클과 그 혜택 (13)」
Keyword: #투자활용 #원자재 #비철금속
고려아연의 매출 분석에 Key factor는 뭐였는지 기억나시나요? 네. 금속 가격 변동이었습니다. 매 분기 판매 (혹은 제련)하는 금속의 양을 고정시켜 놓고, 매월 금속 가격 변동분을 조사해서 매월 실적 추정을 했습니다. 실제로 제련 수수료가 결정이 되면, 이게 2021년 2분기 부터 반영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만약에 제련 수수료가 2020년 대비 50% 낮게 책정된다고 한다면, 시장의 반응은 가히 충격적일 수 있을까요? 두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2021년은 고려아연의 비비맑맑 사업 구조에 대해서 검증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 검증을 이런 방법으로 해 보면 어떨까 합니다. 이 시나리오를 왜 지금 말씀드리느냐? 네, 실제 이 검증은 반기 실적이 나온 뒤에 알 수 있습니다. 2021년 1분기는 기존 제련 수수료에서 금속 가격 변동량만 추적하면 되니까, 이에 대한 분석은 쉽습니다. 예를 들면, 2020년 1분기의 금속 제련/판매량을 그대로 차용하고 거기에 약간의 보정만 적용합니다. 어떤 보정이요? 네. 어제 나누었던 2020년과 2021년의 금속 판매량 보정을 해 주면 됩니다. 2020년 1분기 기준 금속 판매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금속 | 2020.1Q | 2021.1Q (보정) |
아연 | 167,023 | 164,405 (-1.5%) |
연 | 113,181 | 110,524 (-3.8%) |
은 | 651 | 656.51 (+10%) |
금 | 1.9 | 1.9 (보정 없음) |
쉽지 않습니까? 2021년 1분기 실적은 그러므로 여기에 금속 평균 판매 단가 (2020.4Q)를 적용하고, 금속 가격 변화량만 넣어주면 되겠습니다. 2021년부터는 전분기의 판매량과 평균 판매 단가를 이용하지 않고, 보다 정확한 수치를 이용하기 위해서 판매량은 YoY를 이용하고, 판매단가는 2020년 1년 평균 값을 이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생각에는 이게 더 확실할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나온 김에, 2021년 1분기 실적을 한번 추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기준 판매단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금속 | 2020 판매단가 (백만원/톤) | 2021 1Q. 생산량 (톤) | 2021 1Q 매출액 (백만원) |
금속가격 변동 50%: 2021.1Q |
아연 | 2.85 | 164,405 | 468,554 | +2.75% |
연 | 2.26 | 110,524 | 249,784 | +2.35% |
은 | 738.3 | 656.51 | 484,701 | +4.71% |
금 | 65227 | 1.9 | 123,931 | -1.30% |
일단 기타금속을 제외한 별도기준 매출액은 위와 같이 정해집니다. 여기에 기타금속은 2020. 1분기 기준으로 넣어보겠습니다. 그러면 매출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금속 | 2021. 1Q. 매출액 (백만원) | 2020. 1Q. 매출액 (백만원) | YoY |
아연 | 481,439 | 468,625 | |
연 | 255,653 | 251,826 | |
은 | 507,530 | 389,994 | |
금 | 122,319 | 96,370 | |
기타 | 130,647 | - | |
총 | 1,467,588 | 1,337,647 | +9.7% |
일단은 2020년 1분기 대비, 별도 기준으로 9.7% 정도 매출 상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결 기준으로 할 때는 어떻게 하나요? 네. 변환해주면 됩니다. 2020년 사업 보고서에서 별도와 연결기준의 비율은 어떻게 됩니까? 아래의 과정을 따라갑니다:
· 2021년 1분기 (별도) 매출액: 1,467,588(백만원)
· 2020년 1분기 (별도) 순이익률: 10.31%
· 2021년 1분기 (별도) 순이익: 151,308(백만원)
· (별도) 분기 순이익을 (연결) 순이익으로 변환: 109%
· 2021년 1분기 (연결) 순이익: 164,925(백만원)
결론:
2020년 제련수수료 및 2021년 판매량을 보정한 고려아연의 2021년 1분기 실적은 (별도) 매출액 1조 4575억원, (별도) 순이익 151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연결 기준 순이익 1649억원 정도로 예상됩니다. 이는 컨센서스와 비교해보면, 매출 (별도) 1조 5323억원, 당기 순이익 1756억원 대비 각각 4.8%, 14%미달하는 수치입니다. (연결) 순이익은 1766억원을 예상하고 있는데, 제가 구한 값인 1649억원 대비 6.5% 정도 높은 수치입니다. 뭐, 누가 맞는지는 까봐야 아니까, 두고 보시죠.
제가 지금 영국 독감으로 속된 말로 “뇌가 녹아 콧물로” 전이되는 수준으로 머리가 잘 안 돌아갑니다. 혹, 제 계산에서 이상한 부분이 있으면 콕콕 짚어주세요. 제 생각에는 컨센서스에서 별도 분기 순이익을 연결 순이익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크게 차이가 난 것 같긴 합니다.
한 주간 수고 하셨습니다.
2021년 4월 어느 시점의 글입니다. 콕의 시계 time horizon은 생각보다 여유가 있고, 번개보다는 조금 느지만, 확실한 천둥 소리입니다. 벼락거지보다는, 천둥부자를 추구하는 콕의 세계, 궁금하면 500원:
https://forms.gle/jmQVkB1FNFK6hPkr6
일간 콕 구독 신청
일간 콕 COC 구독 설명입니다. 아래의 양식을 작성후 입금해 주시면 일간 콕 <Daily 매거진>을 여러분의 이메일로 송부해 드립니다. 매월 월간 콕의 발매 이후 다음 호 발간 전까지 매일 평일 오전 6시 30분에 여러분의 이메일로 총 10편의 연재물을 송부해 드립니다. (일간 콕 Season 1 2020.11월 - 2021.1월/ Season 2 2021.2월 - 4월/ Season 3 2021.5월 - 7월) 일간 콕 구독 혜택: 1) '상식의 노크, 콕' 배송비 할인 1회 (2500원 상당!); 2) '콕콕X카카오': 상식의...
forms.gle
끝.
- 투자의 판단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콕과 GJH는 여러분의 투자의 결과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기업 노크 > 고려아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재 슈퍼 사이클 그리고 제련 수수료, 뭣이 중하지? (0) | 2021.06.08 |
---|---|
[고려아연] 제련 수수료 159달러 극적 타결 (0) | 2021.05.18 |
[고려아연] 아연, 연, 그리고 은 (+12% 슈팅의 추억) (0) | 2021.04.11 |
고려아연 - 적정가 분석 (2) (0) | 2021.02.02 |
고려아연 - 적정주가 분석 (0) | 2021.02.01 |